본문바로가기
이미지

취업정보

home > 취업정보센터>취업정보

신발 디자이너

작성자 : career 2011-12-26 조회 : 3134


신발디자이너


신발디자이너는 시장조사, 콘셉트 기획, 디자인, 소재 선택 등 신발이 생산되는 전 과정을 지휘하는 사람이다. 이들은 새로운 디자인의 신발을 선보이기 위해 새로운 잡지나 인터넷을 통해 패션경향을 파악하고, 젊은이들이 많은 곳을 찾기도 하며, 외국출장을 가기도 하는 등 시장조사를 거친 후 어떤 신발을 만들것인지 콘셉트를 정하여 사용될 소재를 선택한다.
소재에 맞는 디자인을 스케치하여 디자인에 맞는 굽과 코사지 등의 부자재를 선택하고, 신발을 도식화하여 어떤 소재와 부자재, 굽, 라스트(신발 모양의 골) 등이 설명되어 있는 작업지시서를 패턴사에게 보낸다. 패턴사가 재단과 봉제, 성형 등을 통해 신발의 샘플을 제작하면 착용감, 신었을 때의 모양 등을 확인하는 피팅을 한다. 이를 통해 수정·보완해야 할 점을 결정하여 다시 제작을 요청하고, 최종 샘플이 완성되면 품평회를 열어 어떤색상과 소재를 적용하여 생산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신발은 보통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별로 신상품이 제작되며, 보통 3개월 전부터 기획에 들어가는데, 라스트나 소재가 갖춰져 있는 경우 일주일이면 완성되기도 한다.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 시대와 배역에 맞는 신발을 의뢰하여 라스트까지 개발해야 하는 경우에는 1년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
최근에는 옷을 잘 입는다는 개념이 단순히 상하의 옷을 잘 맞춰 입는 것을 넘어 가방, 모자, 안경, 악세사리, 신발 등을 조화롭게 착용하고 머리모양까지 어울리게 갖추는 이른바‘토털패션’ 을 연출하는 것을 의미하게 되면서 신발의 기능인 발의 보호와 더불어 좀 더 개성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신발을 원하게 되었다.
이에 기존에는 신발디자이너가 디자인을 도식화하여 패턴사에게 넘기는 정도의 역할을 담당했다면 최근에는 기획에서부터 디자인, 소재선택까지 전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 교육 및 훈련

신발디자이너는 의상학과나 미대 출신이 대부분이며, 액세서리 학원에서 구두디자인과정을 수료하고 진출하는 경우도 많다. 신발업체에서 실시하는 공모전을 통해 채용되기도 한다.
신발특성화 고등학교가 생겼으며, 대학에도 신발패션학과나 신발지식공학과 등의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미술을 전공한 경우 디자인을 하거나 작업지시서 작성 등의 실제 업무를 할때 도움이 되며, 신발 관련학과를 전공한 경우 신발디자인과 신발제작과정에 대해 배울 수 있어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채용 시에는 포트폴리오를 요구하는 곳이 많기 때문에 미리 준비해야 한다. 


□ 적성 및 능력

신발은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신었을 때 편하고 예뻐야 하기 때문에 피팅과정에서 많은 변동사항이 생긴다. 따라서 모든 제작과정에서 신발디자이너의 결정이 필요할 때가 많으므로 이들은 신발 생산공정에 대한 이해와 결단력, 패턴사 등 관련자에게 정확한 의사전달능력, 굽이나 코사지 등 부자재에 대한 지식 등이 있어야 한다. 더불어 꼼꼼함과 창의력, 미적감각도 필요하다.
작업할 때 쓰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다룰 줄 알면 유리하며, 신발매장에서의 판매경험이 있다면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시장조사를 할 때 외국 브랜드의 동향을 살피거나 외국 바이어를 상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외국어 능력을 갖추면 유리하다.




□ 진출현황

신발디자이너는 제화사나 살롱화(맞춤제작신발), 디자이너 브랜드 등의 업체와 토털 액세서리 업체로 진출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에 신발을 OEM(주문생산)으로 납품하는 프리랜서로 활동하기도 한다. 신발디자이너의 대부분은 여성 종사자로 업체당 2~5명 정도가 근무하고 있다. 입사하면 초기에는 부자재를 관리하거나 작업지시서 작성, 수선작업 등의 업무를 하면서 1년 정도 경험을 쌓아서 활동한다.

□ 전망

우리는 발의 보호와 패션과의 조화, 운동이나 일등의 특수한 목적을 위해 신발을 신는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기능이 발의 보호인데, 최근에는 기능성보다 패션이 강조되면서 목적이나 패션에 따라 다양한 신발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디자인이 가격, 기능보다 구매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계절과 유행, 소비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 신제품기획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신발디자이너의 역할과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신발제작 기술에 있어서는 외국에 뒤지지 않으나 다양하지 않고, 수출시장을 저가의 중국에게 내주고 국내시장마저 잠식당한 상황이다.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신발강국도 값싼 중국산에 대응하기 위해 프리미엄 전략을 통한 고가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렇듯 우리나라도 노동 집약에서 기술 집약 산업으로 전환하고 디자인을 강화하여 저가시장과 고가시장으로 양극화된 신발산업의 중간시장을 공략한다면 승산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신발디자인 분야는 이제 막 활성화단계에 접어들었다. 고용은 늘고 있지만 관련업체에서는 신입보다는 경력과 실력을 갖춘 디자이너를 원하기 때문에 얼마나 꾸준히 경력을 쌓고 노력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달렸다고 할 수 있다.

출처 : 한국직업정보시스템

  • QUICK MENU
  • 원서접수
  • 모집요강
  • 추천서다운
  • q&a
  • 입시자료신청
  • top